오십견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저주파자극기의 효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마취통증의학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과
고대로부터 사람들은 아픈 부위를 두드리거나 주물러서 통증완화 효과를 보아왔으며, 이는 지각자극을 통한 통증치료법으로 해석되었다. 이를 응용하여 원시적인 저주파 자극기라고 할 수 있는 효자손이나 침과 같은 도구들이 만들어져서 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저주파를 이용한 자극은 근육에 경도의 물리치료 및 운동 형태로 집에서 쉽게 할 수 있으며, 국소적 자극 부위나 자극 주변 부위에만 영향을 미치므로 심혈관계 부작용이 거의 없다고 알려져 있다.
![[korean] (Copy)](https://images.squarespace-cdn.com/content/v1/5656b90de4b04cd6ce818478/1460423291592-EG78ZCPMNTCRRJX48HNG/%EC%9E%84%EC%83%81%EC%8B%9C%ED%97%98%EA%B7%B8%EB%9E%98%ED%94%84_kr+%EB%B3%B5%EC%82%AC.png)
2004년 1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오십견(또는 동결견)으로 진단 받은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군에서는 첫 방문에서 대조군과 동일한 치료를 시행한 후 저주파자극기의 사용 설명과 함께 기기를 제공받고 귀가하도록 하였다. 기기의 사용은 1일 1회, 주3회 이상, 5일 이하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기기 사용에 있어서 환자들은 5단계로 된 강도(Intensity) 조절만 본인이 아프지 않은 정도에서 하도록 하였으며, 치료가 종료되고 4주가 지난 시점 즉 Visit 6에서 대조군에서는 다시 통증이 재발한 경우가 발생하였다.
6회 방문 때 연구군에서 VAS가 더 낮게 나타난 이유는 5회 방문과 6회 방문 사이의 기간이 4주로 비교적 긴 시간을 기본치료없이 보냈기 때문에 저주파 전기자극 치료가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기본치료를 1주일 간격으로 시행하는 경우는 그 치료만으로도 충분하나 치료의 간격이 길어지거나 혹은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 저주파 전기자극을 이용한 치료로 어느 정도의 통증 억제 효과를 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할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 동결견 환자에서 저주파 전기자극 치료기를 이용한 치료는 환자의 통증을 완화하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공개 시험에서 만성 불면증 환자에 대한 저주파 전기 자극의 보통 효과
대한수면학회 Sleep Medicine Research 논문 게재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불면증에 대한 저주파 경피 전기 신경 자극(TENS)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습니다. 만성 불면증 환자의 치료 옵션은 약물 치료와 인지 행동 치료로 제한됩니다.
행동 양식
54명의 만성 불면증 환자에게 4주 동안 주 5일 이상, 잠자기 전 최소 30분~1시간 동안 사다리꼴 근육에 저주파 TENS를 적용했습니다.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Insomnia Severity Index, Epworth Sleepiness Scal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깨어 있는 상태의 정량적 뇌파 검사를 치료 전후에 획득했습니다.
결과
열악한 수면의 질과 불면증 심각도는 크게 감소했으며 후두부 상대 델타 파워도 TENS 후에 감소했습니다. 전체 치료 반응률은 57.5%였으며, 치료 반응의 예측 인자는 주간 졸림, 우울 및 불안 기분이었다. 반응자의 후두부 상대 델타 파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감소한 반면, 비반응자의 상대적 델타 파워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불면증 증상 개선 및 그에 따른 주간 주의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저주파 전기 자극은 만성 불면증 환자에게 어느 정도 효과적이었습니다. 우리의 결과는 향후 연구를 위해 불면증 치료의 대체 옵션을 제공합니다.
<출처: Sleep Med Res 2019; 10(1):17-24>
게재된 논문에서 일부 발췌해서 한글로 번역한 글입니다.
양극 전위 저주파 전기 자극기의 불면증 치료효과
Psychiatry Investigation
논문 중간부분입니다.
60세 이상의 환자의 저주파 효과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비교하였습니다.
PSQI(피츠버그 수면 품질지수)가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치료에 대한 양성반응률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혈액검사 결과 혈청 코티솔의 농도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림3. 개입 후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점수의 감소에 따라 긍정적인 치료 반응이 있거나 없는 60세 이상의 노인 환자의 개별 분포. A: 적극적인 치료를 받은 환자의 개입 후 PSQI 점수 감소. B: 가짜 치료를 받은 사람들의 중재 후 PSQI 점수 감소.
반면, 40-60세 사이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한 것은 후속 연구가 필요한 점입니다.
결론
60세 이상의 노인 불면증 환자에서
- 주관적 수면의 질이 개선되었다.
- 불면증 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양성 반응률이 더 높았다.
- 혈청 코티솔 수치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 노인 불면증에 대해 저주파자극 치료를 노인 불면증에 대한 보조 치료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다.
<출처: Psychiatry Investigation 2022;19(6):451-461>
게재된 논문에서 일부 발췌해서 한글로 번역한 글입니다.